서울 서대 > 갤러리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서울 서대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4-23 07:54

본문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 대강당에서 개막한 제21회 서울국제환경영화제에서 에코프렌즈 배우 김석훈씨와 박하선씨가 인사하고 있다. 2024.6.5/뉴스1 ⓒ News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세종=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환경재단은 지난해 열었던 제21회 서울국제환경영화제를 국내 영화제 중 최초로 '넷제로'(탄소중립)로 운영했다고 22일 밝혔다. 영화제 기간 탄소배출을 줄이도록 캠페인을 진행했고, 이후 숲을 가꿔서 배출량을 상쇄했다는 것이다.제21회 서울국제환경영화제는 2024년 6월 5일부터 7월 14일까지 개최됐으며, 행사 전 과정에서 발생한 탄소 배출량은 총 38.1톤(이산화탄소상당량톤)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30.39톤은 1만 995명의 관객과 관계자의 이동에서, 나머지 7.71톤은 전기 사용과 식음료 제공 등 운영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환경재단은 온라인 상영 확대, 대중교통 이용 유도, 지역 분산형 운영, 고효율 장비 도입, 디지털 홍보 전환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배출량을 줄였다. 이후 방글라데시 순다르반 지역에 맹그로브 570그루를 심어 탄소를 상쇄하는 계획을 세웠다. 식재되는 수종은 큰잎홍수나무 180그루, 흰밀감나무 170그루, 붉은짠지나무 220그루로 구성됐다. 생태계 복원력을 고려해 선정된 이들 나무는 성목이 되면 연간 39.5톤의 탄소를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질적인 상쇄는 약 6~7년에 걸쳐 이뤄질 예정이다.환경재단은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2030 넷제로 전략’을 수립했다. 참여, 지속가능성, 행동을 원칙으로 삼아, 지속 가능 상영 지표 마련, 탄소배출 측정과 공개, 관객 참여형 보상 프로그램 운영, 친환경 인프라 확대, 투자 모델 설계 등 9개 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이와 함께 ‘지속 가능 상영 체크리스트’를 도입해 에너지 절감 조명, 다회용기 사용, 지속 가능 식재료 활용, 저탄소 교통수단 이용 등을 실천 항목으로 정리했다. 해당 체크리스트는 문화예술 분야 전반의 지속가능성 기준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서울국제환경영화제는 2004년 시작된 아시아 최대 환경 전문 영화제로, 기후위기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확산에 기여해왔다. 재단법인 동천에서 일하는 2년차 변호사 김진영(32·사진)씨는 시각장애인이다. 시신경이 발달하지 못한 채 태어나 11살 때 시력을 완전히 잃었다. 청소년 시절 타인의 권리를 지키는 변호사를 꿈꿨지만 그 길은 하루하루가 도전의 연속이었다. 공부할 때 한글파일을 음성으로 번역해주는 장치를 활용해야 해서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재학 때는 교재 저자에게 별도의 파일을 보내 달라고 수십 번 메일을 보내기도 했다.김 변호사는 22일 서울 종로구 재단법인 동천 사무실에서 진행된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온갖 어려움에도 변호사의 꿈을 포기하지 않았던 이유를 묻자 “살기 위해서”라고 답했다. 그는 “타인의 도움만 받는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나를 괴롭혔다”며 “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고 쓸모 있는 사람이라는 생각을 갖고 싶었다”고 설명했다.그가 ‘유리천장’을 깨보겠다고 결심한 건 김중미 작가를 만나면서였다. 김 작가는 빈민촌 공부방을 운영했고, 그 내용을 ‘괭이부리말 아이들’이라는 소설로 썼다. 특수학교 강연에서 우연히 만난 김 작가는 당시 중학생이던 김 변호사에게 빈민촌 공부방에 놀러와 또래 아이들과 만나보라고 했다고 한다. 김 변호사는 “당시 청소년기에는 항상 폐만 끼친다는 생각에 눌려 있었던 것 같다”며 “김 작가님이 ‘네가 서 있는 곳이 어디인지, 어디로 걷고 싶은지 생각하라’고 건넨 말을 가슴속에 품고 살았다. 덕분에 나도 누군가를 돕는 일을 하고 싶다는 꿈을 꿀 수 있었다”고 말했다.김 변호사는 지난해 발달장애인의 투표권 소송을 맡았다. 글자를 이해하기 어려운 발달장애인은 투표권이 있어도 문자 위주의 투표방식 때문에 참여하기 힘들다는 말을 듣고,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것이다. 발달장애인이 쉽게 투표할 수 있도록 사진과 로고가 삽입된 투표 보조용구를 도입해 달라고 요구해 항소심에서 지난해 말 일부 승소했다. 김 변호사는 “그분들은 그제야 자신이 사회에 속해 있다고 느꼈던 것 같다”고 전했다.정부는 현재 법률개정 사안이라는 이유로 상고한 상태다. 이에 대해 김 변호사는 “시각장애인을 비롯한 여러 지체장애인에겐 이미 투표 보조용구가 있다. 이해할 수 없는 형식논리”라고 말했다.김 변호사는 “장애 때문에 혼자 앓고 있는 분들에게는 당신의 잘못이 아니라고 말하고 싶다”며 “앞으로도 장애와 관련된 법제도 연구 및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회사명 이노첵(INOCHECK) 주소 서울시 송파구 가락로 43, 2층 1호
사업자 등록번호 645-24-00890 대표 신비아 팩스 02-423-7836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9-서울송파-1577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신비아
Copyright © 2019 이노첵(INOCHECK). All Rights Reserved.

CS CENTER

Tel. 1566-9357 Email. inocheck@naver.com

평일 10:00~17:00
점심시간 12:00~13:00
토요일 / 일요일 / 공휴일 휴무